![](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460425F3A1A540D)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 기본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마트폰으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및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앱스토어 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 마켓
에서 국세청 홈택스, 손택스를 검색후 설치를 해줍니다. 국세청 손택스 앱에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려면 공인인증서
가져오기를 하여야 합니다. 메뉴 화면 왼쪽 상단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한 후 공인인증센터를 선택합니다.
공인인증서 센터 화면에서 인증서 가져오기를 클릭 후 인증서 가져오기 화면의 1번~7번까지 순서에 따라 진행
하시면 공인인증서 센터에 공인인증서 등록이 완료가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683455F3A1A700D)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 회원가입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을 위한 기본 설정이 끝나면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국세청 손택스 앱에 접속하여 메뉴
화면 왼쪽 상단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그인 화면에서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 회원 가입방법은 약관 동의 후 개인, 사업자 및 세무대리인을 선택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을 위한 가입 유형에 따라 개인의 경우 휴대전화, 공인인증서 인증 방법 중 하나를
사업자 및 세무대리인의 경우 보안카드, 공인인증서 인증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인증 후 화면 내용에
따라 회원가입을 해줍니다. 회원가입 완료 후 초기화면으로 돌아와 상단의 로그인 아이콘을 클릭하고 아이디
로그인. 공인인증서 로그인, 지문인증 로그인 중 하나를 선택 후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이 때 개인사업자가
주민등록번호로 회원가입하여 개인으로 로그인한 경우 화면 오른쪽 상단 메뉴버튼을 누른 후 사업장선택을
눌러 사업장으로 전환하여야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DBA485F3A1A9A08)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 발급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에 따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청 손택스 메인화면에서
조회, 발급 버튼을 선택합니다. 이 시간에는 다양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방법 중 일반적인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을 안내하여 드리겠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및 다른 종류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은 앞으로 설명
드릴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화면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버튼을 클릭한 후
전자세금계산서 건별 발급, 전자세금계산서 수정발급 중 전자세금계산서 건별 발급을 선택해줍니다. 전자세금
계산서 발급 안내 중 첫 번째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을 선택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화면이 나타나면 공급자,
공급받는자, 품목정보, 결제구분 정보를 안내에 따라 순서대로 입력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BF32425F3A1AB512)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 단계별
1단계 로그인 한 공급자의 사업자등록번호, 상호, 성명 등 기본 정보가 자동으로 조회되며 수정은 불가능합니다.
내용을 확인하신 후에 사업장 주소, 업태, 종목, 이메일 항목에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수정 후 화면아래에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2단계로 공급받는자 정보 입력 화면이 나타납니다. 사업자구분 항목에서 상버자, 개인, 외국인 중 공급받는자
유형을 선택합니다. 이하 설명은 사업자 선택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상호, 성명, 주소,
업태, 종목, 이메일 항목은 사용자 입력 또는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 중 사업자등록번호, 상호, 성명은 필수 입력
항목입니다. 공급받는자가 사업자단위과세자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하단의 확인을 클릭하면 종사업장 정보
조회 창이 나오게 됩니다. 간편하게 거래처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이전에 발급한 거래처가 나타나며 발급할
거래처를 선택하면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한 번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입력이 완료되면 화면 아래에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3단계로 품목 및 공급가액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품목, 규격, 수량, 단가 정보를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공급가액과 세액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합계금액을 보여줍니다. 또한 +품목추가를 선택하면
최대 4개까지 추가 입력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4단계 결제화면으로 이동하면 전자세금계산서의 청구와 영수의 구분 선택이 가능합니다. 품목 정보에서 입력된
합계금액이 나타납니다. 현금, 수표, 어음, 외상미수금 항목은 합계금액 내에서 입력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다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초기화면으로 돌아오면 입력한 내용이 보여지고 하단에 발급 미리보기를
통하여 발급할 내용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내용 확인이 끝나면 화면을 위로 드래그하여 하단에
발급하기를 클릭합니다. 최종적으로 발급할 내용을 확인한 후 공인인증서 혹은 보안카드를 통하여 전자서명을
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합니다.
이렇게 총 4단계로 걸쳐서 전자세금계산서가 성공적으로 발급되면 공급자, 공급받는자에게 자동으로 이메일이
발송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568425F3A1AEB10)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 - 조회방법
지금부터는 전자세금계산서 조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청 손택스 메인 화면에서 조회, 발급
버튼을 선택 후 목록 중 전자세금계산서 조회를 선택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을 선택하면 이전에 발급한
전자세금계산서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분류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또는 전자세금계산서 선택이
가능하며 저는 전자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조건은 작성일자 기준으로 조회기간은 당일로
설정되어 있으며 매출, 매입, 작성일자, 발급일자, 전송일자, 기간설정 등을 통한 조회가 가능합니다. 상세조건으로는
공급받는자 구분, 종사업장 번호, 상호, 전자세금계산서 종류 등이 있습니다. 화면 하단에 조회를 클릭하면 검색된
전자세금계산서의 총 건수, 총 합계금액, 총 공급가액, 총 세액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검색된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이
확인됩니다. 기본적으로 상호, 성명, 공급가액, 세액, 작성일자, 발급일자, 전송일자가 나오게 됩니다. 목록에서 해당
건을 선택하면 상세조회 화면으로 이동해서 팝업으로 보여줍니다. 발급예정목록 기능은 당일 발급 예정된 전자세금
계산서의 총 건수, 총 합계금액, 총 공급가액, 총 세액을 보여줍니다. 기본조건으로는 분류, 종류 등이 있습니다.
상세조건으로는 공급자 사업자등록번호, 종사업장 번호, 성명 등이 있습니다. 화면상단 우측에 메뉴버튼을
클릭하면 전체메뉴, MY메뉴가 나타납니다. 전체메뉴에서 조회, 발급을 선택 후 전자세금계산서 조회를 선택해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 중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및 신고용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를 클릭하면 매출, 매입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조회가 가능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2DA4A5F3A1B2E06)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 - 메일 재발송 방법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다보면 메일을 재발송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이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메뉴에서 조회, 발급을 선택 후 전자세금계산서 조회 선택, 메일 발송목록 및 재발송을
선택합니다. 메일 재발송 기능은 이전에 발행한 전자세금계산서를 메일로 재발송하는 기능으로 조회한 발송
목록에서 좌측 체크박스에 체크한 후 발송을 클릭하면 선택된 거래처로 메일이 재발송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발송되지 않으며 메일주소는 수정 후 재발송 할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53E435F3A1B560F)
<전자세금계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