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9C94C5F56F6B828)
전기차 보조금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날이 갈수록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는
만큼 구매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전기차의 비싼 가격 때문에 구매를 망설이는 분들을 위해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400km 전후의 주행이 가능한 현대 코나, 기아 니로, 쉐보레 볼트 같은
중, 대형 전기차부터 모델 3를 필두로 한 테슬라 등 화물 전기차 등장까지 점차 다양한 차종들이 출시되면서
전기차 판매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판매 가격이 내연기관 차량들에 비해서 높은 만큼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전기차 구매 결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데요. 서울시 기준으로 전기차의 보조금은
해가 지날수록 줄어들고 있고 세부 정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며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늘은 2020년
올해 전기차를 구매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부 전기차 보조금의 변화, 각 시도별 전기차
보조금 변화, 각 회사별 전기차 실구입가 계산 등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1AD4D5F56F7942A)
<전기차 보조금 정책>
전기차 보조금 - 변화
전기차 보조금은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2020년도 정부 전기차 보조금은 2019년 900만 원에서 2020년
820만원으로 80만 원 축소되었습니다. 또한 승용 전기차 19개 차종 중 18개 차종에 상한선인 900만 원을 지원했던
2020년과는 다르게 2020년에는 단 7개 차종에만 상한선인 820만 원이 지원됩니다. 우선 최대 상한선의 전기차
보조금을 받게 되는 차종은 현대 코나, 아이오닉, 기아 니로, 기아 쏘울 등 입니다. 지금 언급한 전기차 모델 중
장거리, 단거리 2가지 버전을 판매하는 모델들은 각 모델의 장거리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쉐보레
볼트까지 전기차 보조금 상한선인 최대 820만 원이 지원됩니다. 그래서 변화된 전기차 보조금을 생각하고 전기차
구매시 주의하실 차종은 2019년도 최대 상한액인 900만 원을 지원 받았으나 2020년도 최대 상한 전기차 보조금인
820만 원을 지원받지 못하는 차량들인데요. 이 차량들은 코나 경제형, 쏘울 도심형, BMW i3 120ah, 테슬라 모델S
테슬라 모델3, 재규어 아이페이스, 닛산 리프 등의 모델입니다. 작년 대비 바뀐 전기차 보조금 정책으로 인해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2314C5F56F7C128)
<전기차 보조금 정책>
전기차 보조금 - 각 시도별
정부에서 지원하는 전기차 보조금 외에도 각 시도별로 지원하는 전기차 보조금 금액이 있는데요. 이 마저도 점차
축소되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2020년 승용 전기차 보조금 1270만 원으로 2019년도 대비
80만 원이 축소되었고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일부 지역의 경우 동일하게 80만 원 수준으로 전기차
보조금 지원액이 감소하였습니다. 세종시의 경우 2019년 1500만 원에서 2020년 1220만 원으로 280만 원의 큰
감소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이 가장 많이 축소된 곳은 최대 320만 원 축소된 강원도입니다. 그리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승용 전기차 보조금이 늘어난 곳은 전북으로 220만원 가량 전기차 보조금 혜택이 증가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802455F56F7EA28)
<전기차 보조금 정책>
전기차 보조금 - 비공용 완속 충전기 설치 지원비
이렇게 전기차 보조금의 바뀐 정책 중 중요하게 봐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먼저 가정이나 사업장에 비공용 완속
충전기 설치시 지원되었던 지원비가 2020년에는 없어졌습니다. 즉 가정이나 사업장에 비공용 충전기를 설치할
경우 모두 자비로 진행하셔야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비공용 완속 충전기 지원금이 130만원에 달했던만큼 상당히
큰 변화인데요. 전기차의 경우 집밥이라 불리는 가정용 비공용 충전기가 있으면 상당히 편리한데요. 전기차를
타면서 아낄 수 있는 비용을 계산하실 때 비공용 완속 충전기를 설치 하신다면 2020년부터는 설치 비용도 계산에
포함하셔야 된다는 점이 아쉽게 되었습니다. 비공용 충전기가 거주하시는 곳에 설치되어있거나 따로 충전기
설치를 안 하시는 분들에게는 큰 차이는 없습니다. 대신 2020년 정부의 정책은 개인 비공용 충전기 설치 비용을
지원하지 않는 대신 공용 중심으로 충전 인프라 구축에 힘쓸 예정이라고 합니다. 급속 충전기 1500기 설치와
완속 8000기 설치로 정책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하니 기대가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27D485F56F81329)
<전기차 보조금 정책>
전기차 보조금 - 부정수급 방지, 추가 보조금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 중 숙지하셔야 할 변화는 강화된 부정수급 방지 정책입니다. 이는 지자체마다 다른
전기차 보조금 때문에 더 많은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 위장전입 등 전기차 보조금을 부정 수급하는 사례들이
있었는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기간 해당 지자체에 거주 조건을 포함하고 전기차 보조금을 부정 수급한
사실이 적발될 경우 즉시 환수 조치 한다고 합니다. 기존에도 일부 지역에서 시행을 했던 것으로 이제는 전체적으로
강화한다고 합니다. 또한 차상위 이하 계층이 승용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 전기차 보조금을 10% 추가 지원하며
생에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 보조금을 우선 지원한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4B2505F56F83128)
<전기차 보조금 정책>
전기차 보조금 - 실구입가
지금까지 바뀐 2020년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바뀐 전기차 보조금을 바탕으로 승용 전기차의
실구입가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코나 기본형 모던트림 기준 실 구입가는 3420만 원
기아 니로 프레스티지 기준 실 구입가는 3510만 원
쉐보레 볼트 LT 기준 실 구입가 3323만 원
테슬라 모델3 스탠다드 기준 실 구입가 4120만 원
동일한 수준의 비교를 위해 제조사의 프로모션 금액은 제외하였고 각 전기차 모델의 가격은 기본형을 기준으로
옵션은 제외한 상태에서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주의하실 점은 실제로는 옵션이 추가되는 부분이 많다는 점이며
특히 테슬라의 경우 옵션을 넣다보면 1000만 원 이상 가격이 상승하기도 하니 참고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또한
일부 차량의 경우 실제 구입시 수 백만 원의 프로모션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진정한 실구입가는
구입 시점의 각 제조사의 프로모션도 확인하시고 추가 할인 금액을 적용해서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8624C5F56F85429)
<전기차 보조금 정책>
전기차 보조금 - 충전 환경
마지막으로 오늘 알아본 전기차 보조금을 바탕으로 전기차 구매시 주의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비공용 완속 충전기 지원이 끝난 만큼 충전 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시고 구입하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집 주변에 급속충전 만으로도 만족스러울 수 있지만 전기차 운행을 하면서 느낀점은
지속적인 이용시 계속되는 외부 충전은 운행 환경에 따라서는 상당한 불편함을 줄 수도 있습니다. 주행거리가
많고 자주 운행하신다면 비공용 완속 충전기가 이미 설치되어 있거나 없는 경우 개인적으로 설치를 하시는 편이
가장 편리하고 아파트의 경우 완속, 급속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이동형 충전기 설치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택에 설치가 안되어 있거나 설치가 어려운 경우는 집
주변이나 운행하는 경로에 급속, 완속 충전기가 어느 정도 설치되어 있는지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충전기의 유무가 전기차 운행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BBCD475F56F8BC2B)
<전기차 보조금 정책>
전기차 보조금 - 판매 및 조항
또한 구입 후 2년 이내 타 시, 도로 전기차를 중고로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차를 자주
바꾸시는 성향이시거나 그런 상황이 예상된다면 구입을 조금 더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자체별로 상이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2년 이내는 전기차 보조금을 받은 지역에서만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중고차 판매시 제약이
따릅니다. 그리고 보조금 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지 2개월 이내에 출고 해야하는 조항도 주의하셔야 합니다.
차량 재고가 있어 바로 출고되는 차량의 경우는 보조금 접수까지 동시에 해도 크게 상관이 없지만 주문 생산이나
대기가 오래 걸리는 전기 차량의 경우 전기차 보조금을 먼저 접수하고 대상자 선정이 된 후 2개월 이내 차량이
출고되지 않으면 대상자 선정이 취소되거나 대기자로 변경이 됩니다. 또한 대기 중 전기차 보조금 예산이 소진되면
그 해에 구입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도 숙지하셔야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D97485F56F9192A)
<전기차 보조금 정책>